1. 포트포워딩 설정

  > 포트포워딩 설정은 공유기 매뉴얼을 따라하면 손쉽게 해결됩니다.
    첨부된 매뉴얼 파일 참고하세요.
    CAPD-6000_CAPL-6000_사용설명서.vol1.egg
    CAPD-6000_CAPL-6000_사용설명서.vol2.egg
    CAPD-6000_CAPL-6000_사용설명서.vol3.egg
  > 검색 엔진에서 "CAPD-6000 매뉴얼"로 검색해서 다운로드도 가능합니다.

  

2. 고정IP 할당

  > 포트포워딩 설정을 위해서 우선 라즈베리파이에 고정IP를 할당해야 합니다.

  > CAPD-6000 공유기는 관리 기능에서 고정IP 할당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.

    라즈베리파이에서 IP를 직접 할당하도록 합니다.

  > CAPD-6000 공유기는 192.168.219.100~200 대역을 DHCP 용으로 사용합니다.

     DHCP 대역을 피해서 라즈베리파이에 IP를 할당합니다.

  > 유플러스 장비(TV 셋업 등)에서 이미 사용 중인 IP도 피해야 합니다.

     공유기 관리 화면의 'DHCP 할당 정보'기능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덧, 고정IP 할당과 포트포워딩을 마쳐서 .. 외부에서 공인IP를 통한 접속은 잘 되는데 ..

.. 왜인지 .. 정작 라즈베리파이에서는 공인IP를 통한 접속이 안 된다 ..

.. 이상하네 .. 끝.




'라즈베리파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Raspbian] Apache Web Server 설치  (0) 2016.02.10

"라즈베리파이로 웹 서버 구성하기"


Linux 사용이 어색해서 이미지 캡쳐는 좀처럼 쉽지 않음 .. ㅎㅎ

Raspberry Pi 의 사용  목적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.

그래도 어쨌든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설정은 잡아야 하니까

접속 확인을 위한 Apache를 먼저 설치해 보자.


1. sudo apt-get update

  > repository package list update

  > 금방 끝남.

2. sudo apt-get upgrade

  > installed package update

  > 오래 걸림.

3. sudo apt-get install apache2

  > 설치하면 서비스 바로 기동됨.


그냥 접속 가능한 페이지 생성이 목적이니까 오늘은 여기서 끝.

'라즈베리파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APD-6000] 포트포워딩 설정  (0) 2016.02.11

+ Recent posts